금리인상 부동산에 대해서 총 정리 하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금리인상 부동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제로금리에 가까운 낮은 금리를 유지했던 한국은행이 최근 금리 인상을 시작해 많은 논란을 불러왔으며, 사회적인 불안 등이 여기저기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코로나19 바이러스 장기화로 인하여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것을 고려해 사상 최저 수준인 0.5%까지 낮추어진 금리가 오랫동안 유지되었는데요. 지난 8월에 0.25% 인상된 0.75%의 금리가 결정되었습니다.
한국은행에서는 또다시 빠른 시일 내에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추가 금리 인상과 관련된 내용과 금리인상 부동산 등의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아까 말씀드렸듯이 한국은행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서 당시 기준 금리를 1.25%->0.5%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 장기화로 인해 제로 금리라 할 만큼의 0.5% 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해왔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너무 낮았고 이러한 금리가 오랫동안 지속되다 보니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는데요. 그래서 지난 8.26일에 금리 0.25% 올려 0.75%로 인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멈추지 않고 빠른 시일 내에 금리를 0.25% 더 추가 인상하여 1%의 기준금리를 맞추겠단 의사를 내보인 상황인데요. 이렇게 금리가 추가 인상될 경우 1인당 이자가 연간 약 30만 원 정도 늘어날 것이라 예상되며, 이 정도의 인상폭은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2020년과 2021년에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이 가장 많이 들었던 단어는 아마도 빚투와 영끌일 것입니다. 각각 빛을 내서 주식 투자를 하고 영혼까지 끌어모아 빚을 내어 대출을 받아 부동산, 주식, 코인 등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많은 돈을 빌려도 이자 부담이 적은 편이기에 대출을 최대한도로 받아서 투자 자금을 마련한 후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를 하여 대출이자보다 더 큰 이익을 보기 위한 현상들을 뜻하는 단어인데요. 하지만 아무래도 이번에 금리가 인상되면 이자 부담이 커지므로 빚을 내서 투자하고자 하는 심리는 축소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결국 빚투와 영끌 등의 현상이 줄어들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금리인상 부동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금리 인상과 함께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 바로 단기간에 폭등한 부동산 가격 하락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빚투와 영끌 등으로 인하여 부동산 거래량이 급증하게 되면서 서울, 수도권 아파트 가격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되었습니다.
그 결과 현재 집을 사고 싶어도 살 수가 없는 상활이라 할 수 있으며, 코로나19 바이러스 이전에 서울, 수도권 각지에 부동산을 가지고 있었던 분들은 자연스럽게 자산이 급증하게 되기도 했습니다. 금리가 인상될 경우 이자 부담이 커지므로 무리하여 빚을 내가지고 아파트를 구매하고자 하는 분들이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이며, 이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는 시장 원리를 감안한다면 부동산 가격 상승폭은 다소 낮추어질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금리 인상만으로는 부동산 가격을 잡기에는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까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주요 원인은 낮은 금리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공급억제 정책, 다양한 부동산 관련 법률안 개정 등이 복합적으로 얽히게 되면서 부동산 가격은 점점 올라왔기에 이번 금리인상만으로는 부동산 가격이 잡힐 것이라는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금리인상과 같이 가장 큰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 부동산 가격 하락인데요.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서민, 자영업자의 부채 부담만 늘어 상황이 더 안 좋아지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들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금리인상 부동산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