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른기업 경영컨설팅입니다. 기업체를 운영하다 보면 정부지원 사업의 일환인 정책자금에 대한 니즈가 생길 때가 있죠. 특히 중소기업 규모의 제조업의 겨우 시장경제에서 상당히 기여하는 바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국가 사업 기반의 핵심이 되다 보니 중소기업을 잘 육성하는 것이야 말로 시장 경제의 성장과 경쟁력을 증진시키는데 좋죠. 그래서 오늘은 중진공 정책자금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중진공이란 중소기업벤처진흥공단을 줄여서 쓰는 말인데요.
우수한 성장성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장기 저금리의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정책 자금을 일컫는 말이라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융자란 대출의 의미로 받아들이시는 게 맞지만, 시중은행의 금리보다는 낮고 한도는 높게 책정하는 정책인데요.
현재 우리나라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자금의 종류는 무려 300가지가 넘기에 중진공 정책자금이야 말로 제대로 알아보고 신청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특성에 의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기술이나 사업성이 우수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기에 해당 지원자격에 결격될 사유가 없는지 알아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요.
우리나라 중진공 정책자금 예산은 전년 5조 600억원 수준이라는 이야기가 있고, 올해는 이보다 상승한 5조 4천억 규모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올해로 3년차로 접어든 코로나19가 장기화된 탓에 각종 예산이 폭넓게 책정된 만큼 국가지원을 통해 기업을 운용하는데 잘 활용할 필요가 있는데요.
최근 곡물값 가격 상승과 더불어 인프레이션 우려로 인해 경기침체 반응이 나타나고 있죠.
현 시장 경기가 좋지 않은 흐름을 파악한다면 기술성이나 사업성을 조금이라도 더 어필해 중진공정책자금을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지원 신청할 필요가 있는데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 대해 조금 더 면밀히 들여다보자면, 정책의 목적에 따라 총 6개 세부 자금을 구분하여 지원 중이라는 걸 쉽게 발견하실 수 있을 겁니다.
특히 창업기, 성장기, 재도약기를 분류해 폭넓게 마련한 만큼 많은 분들이 신청 준비 전 단계부터 어려움을 호소할 수 있는데요.
우리 기업의 혁신 성장 가능성이 다분한 업체를 확대해 유형별 맞춤형으로 조력함은 물론, 수요자 중심의 과정을 개편해 다방면으로 지원 받을 수 있게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또한 이번 국가지원 사업에서 제외되는 대상으로는 소상공인이 있으며, 광업,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 수가 10인 미만인 경우 지원받기가 어렵습니다.
물론 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전문가나 컨설팅 자문을 통해 다른 기관의 지원 방법을 알아보는 것도 필요한데요. 국가지원 사업 신청과 심사 과정은 단순히 지원 공고만 놓고 준비하면 오히려 놓치기 쉬운 부분들이 많으므로 철두철미하게 준비하는 노력을 가지기 바랍니다.
참고로 정책자금의 종류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무수히 많이 있습니다.
우리 기업이 성장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서 국가로부터 자금을 받는 건 상황에 따라서 매우 쉽거나 매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준비단계에서 꼼꼼히 챙기시기 바라구요. 국가지원 사업이다 보니 승인률 보다는 경쟁률이 치열한 만큼 제출 서류들을 꼼꼼히 챙겨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한번 부결 판정이 나면 재지원이 불가하거나 6개월간 제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 부분도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오늘 준비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고요.
오늘 다룬 내용과 관련해서 도움이 필요하거나 자문을 구하고 싶으시다면 언제든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자금뿐 아니라 기업 경영 컨설팅 전반에 대해 다년간 쌓아온 노하우를 전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표님 소중한 기회를 잡아드리겠습니다.
TEL : 010-8999-2382
'정책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인정책자금, 급하게 알아보면 오히려 놓칩니다! (0) | 2022.07.04 |
---|---|
기술보증기금대출 정책자금, 어떻게 신청할까? (0) | 2022.06.30 |
2022 중진공 정책자금 신청, 예산 소진 전 확인하세요! (0) | 2022.06.08 |
정책지원금, 필요할 때 알아야 할 팁! (0) | 2022.06.02 |
중소기업정책자금, 정확하게 준비하는 방법! (0) | 2022.05.30 |